문제제기
은주는 독선적인 사람이다. 그녀는 율법적이며, 독선적이며, 누구의 발을 밟던지 상관하지 않는 스타일이다. 그녀에게서는 은혜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다. 그녀는 질문에 대해 아무도 감히 반론을 제기하지 못할 정도로 단호하게 대답을 하곤 한다. 그녀는 "비판정신"이라는 단어에 대한 판권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렇게 항상 옳기만 한 사람에게 어떻게 건설적인 충고를 해줄 수 있겠는가?
문제해결
분별력을 위해 기도하라. 첫 번째 해야 할 일은 지혜와 분별력을 달라고 기도하는 것이다. 은주의 독선적인 태도와 비판정신은 자신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증상일 수 있다. 그녀는 아마 매우 율법적인 교회나 가정에서 자라서 은혜를 경험해 보지 못했을 것이다. 아마 그녀는 불안감을 감추고 있는지도 모르고 자신의 부족한 신학적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의 공개 토론석상에 내놓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회적으로 접근하라. 은주가 권위적인 태도로 율법적인 반응을 보이더라도 겁먹지 말고 웃으며 부드럽게 "재미있는 관점이군요. 당신 말고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나요"라고 말하라. 필요하다면 다른 리더나 믿을 수 있는 사람의 도움을 요청하라. 여러 문제에는 그에 상응하는 여러 관점이 있다는 것을 계속 주지시켜라.
필요하다면 직접적으로 얘기하라. 율법주의와 교리주의는- 특별히 독설가인 경우에 -그룹 전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누룩 같아서 조심하지 않으면 누군가가 다치게 된다. 은주와 개인적으로 얘기 할 수 있는 시간을 내라. 믿음의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그녀의 견고한 고수를 될 수 있는 한 긍정해주고 나서 지금 공부하고 있는 모든 것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여러 가지 가능한 답이 있지 않겠는가 라고 넌지시 얘기해 주라. 다른 멤버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칠 수도 있지 않겠냐고 말해 주라. 그리고 다른 멤버들이 그녀의 독선적인 태도 때문에 그녀의 말을 끝까지 들으려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 역시도 그녀의 지혜를 배울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덧붙여 줘라.
내가 아는 대부분의 독선적인 사람들은 오류가 있는 설득은 잘 받아들이지 않았다. 별 중요하지 않은 문제 때문에 나빠지는 그룹을 많이 보았다. 양쪽 다 상처를 받게 된다. 그러나 그룹의 멤버들이 은혜롭게 대처하는 것도 보았다. 많은 은주들이 몇 년 후엔 다시 돌아와서 좀 더 인내하라고 격려했던 것을 고마워했다. 나는 누군가가 그들의 비성경적인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보았고 비판적이며 판단적인 자세에서 벗어날 수 있기를 다른 멤버들과 함께 기도했다. 이것은 쉬운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기도와 은혜로 은주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녀에게 그룹을 떠나달라고 요구하라. 그룹의 리더로서의 원칙 중에 하나는 한사람 때문에 그룹을 희생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가혹한 것 같지만 이런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고 절대적으로 최종적인 수단이다. 지금껏 이렇게 한 적은 두 번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룹은 여러 사람을 위해 사역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한 사람의 필요나 행동, 태도가 그룹 전체를 해치고 있다면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어떤 사람이 다른사람의 일을 비판하는 것은, 그가 자신의 업적에 의하여 자신을 구별하지 않았다면, 터무니 없는 짓이다." - Joseph Addison
댓글 없음:
댓글 쓰기